본문 바로가기

치코미디어

[블록체인보고서] 디지털이 피지컬로 전환되는 시대(2)_연 파이낸스(Yearn Finance)는 어떻게 세계 은행을 주도할 것인가? [블록체인보고서] 디지털이 피지컬로 전환되는 시대(2) _연 파이낸스(Yearn Finance)는 어떻게 세계 은행을 주도할 것인가? 번역: 치코미디어 ​ ​ YFI(현재의 리더로서 연 금융,Yearn.Financial) ​ 가장 가치 있는 이더리움 은행으로서의 애그리게이터의 설립과 성공적인 애그리게이터를 찾는 데 가장 중요한 변수로 혁신과 커뮤니티를 구축한 Yearn.Finance(YFI)는 가장 가치 있는 은행으로 손꼽히는 확실한 선두 기업이다. YFI는 이 분야에서 최고의 핵심 팀을 보유하고 있으며, 제품 제공면에서 지속적으로 혁신하며, 지분 제공으로 완전히 혁신했으며, 주로 언급된 다른 변수들의 조합으로 인해 이더리움 은행 중에서 가장 크고 가장 헌신적인 커뮤니티를 보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Y.. 더보기
[블록체인보고서] 디지털이 피지컬로 전환되는 시대(1)_연 파이낸스(Yearn Finance)는 어떻게 세계 은행을 주도할 것인가? [블록체인보고서] 디지털이 피지컬로 전환되는 시대(1) _연 파이낸스(Yearn Finance)는 어떻게 세계 은행을 주도할 것인가? 번역: 치코미디어 ​ 디지털 금융의 레스토랑 시대 ​ 이더리움은 소수과점의 은행업을 종식시켰다. 이는 마치 소수가 독점하는 구조로 운영되었던 언론들이 인터넷에 의해 이전과 같은 과점형태를 띄지 못하는 것과 같다. 이더리움 상의 은행들은 하나의 상품만을 판다[1]. 바로 이자율이다. 우리는 종종 이더리움 은행을 이자율 최적화 도구로 여긴다. 누구나 자신 소유의 은행을 오픈할 수 있고 이더리움에서 은행을 오픈하는 것은 마치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를 개설하는 것과 유사하다[2]. ​ 이더리움 상의 은행업은 인터넷 상의 언론들보다 경쟁이 더 치열할 것이다. 이더리움 은행업의 경쟁은 .. 더보기
[치코미디어] 폴카닷 네트워크의 파라 체인, 릴레이 체인, 브릿지 체인이란? [치코미디어] 폴카닷 네트워크의 파라 체인, 릴레이 체인, 브릿지 체인이란? Dennis Jeon 2021.01.04 ​ 폴카닷(Polkadot)은 이더리움 공동 창시자인 개빈 우드(Gavin Wood)와 Web3 재단이 발표한 인터체인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최근 업계의 무한한 관심을 받고 있다. 폴카닷은 사용자의 블록체인에 위치하는 파라 체인과 릴레이 체인 및 브릿지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폴카닷은 확장가능한 멀티 체인으로써 다수의 파라 체인이 독립적으로 많은 양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구조이다. 폴카닷 네트워크의 파라 체인, 릴레이 체인, 브릿지 체인은 과연 어떠한 역할을 담당할까? ​ 파라 체인: 애플리케이션 기반 맞춤형 체인 ​ 파라체인(parachain)은 Polkadot 네트워크와 병렬로 연.. 더보기
[치코미디어] 비트코인 2020 연말 결산! 올해 비트코인 이슈 총정리 [치코미디어] 비트코인 2020 연말 결산! 올해 비트코인 이슈 총정리 2020.12.31 Jooho 올해 이루어진 비트코인의 초강세장은 누가 뭐래도 2020년을 대표하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비트코인은 특히 이번 12월에 들어 수차례 역사적 신고가를 세우며 12월 30일 기준 28,500달러를 돌파했다. ​ 암호화폐의 가격 상승과 함께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유명 금융회사들의 시가총액을 추월했다. 2020년 초, 비트코인은 이미 JP모건(NYSE:JPM)과 마스터카드(NASDAQ:MA)의 시총을 넘어선 바 있으며 얼마 안 돼서는 비자(NYSE:V)의 시총을 넘어섰다. 비자의 시총을 넘어설 때를 기준으로, 당시 비트코인의 시총은 5,000억 달러에 다다랐다. 12월에는 워런버핏의 자산운용회사인 버크셔 .. 더보기
[치코미디어] 일본, 싱가포르, 홍콩의 암호화폐 규제제도 [치코미디어] 일본, 싱가포르, 홍콩의 암호화폐 규제제도 작성자: DennisJeon 작성일: 20. 12. 26 ​ 일본, 싱가포르, 홍콩에는 암호자산 거래를 위한 자체 규제 프레임 워크가 존재한다. 일본은 상대적으로 완성된 규제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ICO 및 파생 상품 등을 매우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암호화폐 결제 분야를 감독하기 위해 결제서비스법(PSA)를 시행하여 규제하고 있다. 홍콩에는 BitMEX 및 FTX와 같은 유명한 기관들이 존재하지만 일본, 싱가포르와 달리 가상 자산에 대한 정확한 법률 제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 ​ 일본 일본의 암호자산 거래는 일본 금융청의 규제를 받고 있다. 일본 금융청의 규제 제도에는 결제 서비스, 금융 상품 거래법이 포함되어 있다. 개정안은 .. 더보기
[치코미디어] 디파이 덱스의 PER 은 얼마… 디파이계의 가치주는 유니스왑? [치코미디어] 디파이 덱스의 PER 은 얼마… 디파이계의 가치주는 유니스왑? 작성일 : 2020.12.24 작성자 : Jooho 올해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한창 디파이 열풍이 불었다. 디파이 열풍은 곧 디파이 프로젝트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투자자 입장에서 언제나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바로 ‘가격’일 것이다. 그리고 현재 투자를 하기에 적합한 시기인지를 파악한 뒤 행동에 나서기 마련이다. 전통적인 주식시장에서 우리는 이때 대표적으로 기업의 PER을 참고한다. 한 기업의 PER은 해당 기업의 주식 가치, 더 나아가 전체 주식시장의 가치가 고평가 됐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된다. ​ 그렇다면 기존 주식시장에서 쓰이던 PER을 디파이 프로젝트에 적용시켜 보면 어떨까? 디파이 프로젝트에서의 PER은 .. 더보기
[치코미디어] 비트코인으로 33억 잃고, 딸 살해한 뒤 동반자살 택한 중국 부부… 남편만 구조돼 [치코미디어] 비트코인으로 33억 잃고, 딸 살해한 뒤 동반자살 택한 중국 부부… 남편만 구조돼 2020/12/21 Jooho 올해 6월 18일 오전 5시쯤 (현지시각 기준) 다롄(大连) 싱하이(星海) 대교에서 일가족 세 명이 동반 자살을 시도한 비극적인 사건이 있었다. 당시 대교에서 뛰어내린 부부와 어린 딸 중 남편만 살아남고 아내와 딸은 숨졌다. ​ 사건 발생으로부터 반년이 지난 12월 8일, 다롄시인민검찰원은 사건 공소장 내용을 공개하였다. 공개된 공소장을 통해 동반 자살의 이유가 ‘비트코인 투자 실패’에 따른 비관이었음이 드러나며 사회적인 충격을 주고 있다. 또한 살아남은 남편이 피고인 정씨는 자신의 세 살배기 딸을 먼저 살해한 뒤 아내와 함께 동반자살을 시도한 살해 자살인 것으로 밝혀졌다. 살해.. 더보기
[중국 거래소 이야기] ② 디파이 열풍 속, 가장 실속있는 거래소는 어디? ​ [중국 거래소 이야기] ② 디파이 열풍 속, 가장 실속있는 거래소는 어디? ​ 2020.12.17 Jooho 1편에서 소개되었듯 올해, 암호화폐 거래소의 리스크로 인해 거래소에 예치되어 있는 자산의 안전성을 신뢰할 수 없게 된 고객들이 다른 거래소로 이동하는 일들이 발생했다. 이를 통해 거래소 신뢰도가 향후 중국 내 거래소의 경쟁 우위를 결정짓는 큰 작용을 할 것이라는 예측을 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물론, 거래소의 경쟁 우위를 결정하는 것이 ‘거래소의 안정성’만은 아닐 것이다. 똑같이 안정적이고 신뢰할만한 거래소라면, 유저들은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거래서를 선호하게 될 것이다. 이에 이번 편에서는 “디파이(DeFi)”를 중심으로 펼쳐질 거래소들의 경쟁 우위 쟁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