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트렌드랩_23.02.28_오전] 암호화폐 뉴스 브리핑
1. [뉴욕 코인시황/마감] 대부분 하락세 전환 … 암호화폐 하락 증시 상승
# 대부분 하락세 전환 # 선물시장 보합세 # 암호화폐 하락 증시 상승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98446
2. 트루USD, 5위 스테이블코인 부상 … 바이낸스 1주 만에 $1억3000만 TUSD 주조
암호화폐 가격 추적기관 코인게코 자료에 의하면 TUSD의 유통 공급량은 11억달러를 돌파했다. 이로써 TUSD는 탈중앙 금융 프로토콜 프랙스 파이낸스(Frax Finance)를 제치고 5위 스테이블코인으로 올라섰다.
TUSD는 암호화폐 기업 아크블록(이전 명칭 트러스트토큰)이 발행하는 달러에 고정된 스테이블코인이다. TUSD의 가치는 전적으로 경화에 의해 뒷받침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98448
3. 비트코인 2개월 랠리 모멘텀 약화 … 과거 데이터가 예고하는 3월 성적은 – 블룸버그
2개월간 지속된 비트코인 랠리의 모멘텀이 약화되면서 과거 사례가 재현될 경우 비트코인이 3월에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지난달 39% 상승한 뒤 2월에는 오름폭이 약 2%에 그치며 최근 모멘텀이 크게 약화됐음을 보여준다.
비트코인은 2020년 팬데믹 저점 이후 지금과 유사한 상황을 5차례 연출했다. 즉, 비트코인이 2개월 연속 상승흐름을 유지했지만 두번째 달 상승폭이 첫째 달에 비해 크게 축소된 것이다.
또 비트코인이 2개월 연속 오른 과거 5차례 중 4차례는 세번째 달에 가격이 하락했다. 평균 월간 하락율은 5.8%였다. 비트코인이 강력한 강세장 중간에 위치했던 2021년 2월만 예외
비트코인은 연방준비제도의 고금리 정책이 예상보다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전망과 규제 우려로 추가 상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98439
4. STX 9개월 최고가 랠리에도 선물시장은 STX 약세 베팅 우세
코인글래스 데이터에 따르면 STX와 연계된 무기한 선물시장의 미결제약정이 8000만달러로 두배 증가했음에도 펀딩비율(funding rates)은 마이너스를 유지했다.
이는 STX 토큰의 지속적 가격 상승 속에 STX 무기한 선물시장으로 유입되는 신규 자금이 가격 하락에 베팅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무기한 선물시장에서 숏포지션(약세 베팅) 대비 롱포지션(강세 베팅) 유지 비용을 가리키는 펀딩비율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시장의 레버리지가 약세로 기울여져 있음을 암시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98429
5. 스택스(STX) 강세 지속, 주간 수익률 50% 육박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 등 대부분 종목이 하락 중인 가운데 스택스(STX) 가격이 7일 동안 50% 가까이 상승.
27일(현지시간) 코인마켓캡 자료에서, 뉴욕시간 오후 스택스는 24시간 전보다 15.2%, 일주일 전에 비해 43.2% 오른 0.89달러에 거래.
스택스는 1월1일 0.20달러로 출발해 1월24일 이후 0.30달러까지 올랐으나 상승세를 지속하지 못하고 0.20달러로 후퇴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98425
5. 코인베이스 3월13일 BUSD 거래 중단 … “상장 기준 미달” 이유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스테이블코인 바이낸스USD(BUSD) 거래 중단 계획을 발표했다.코인베이스는 상장 기준 미달을 이유로 BUSD에 대한 지원을 3월13일부터 중단한다고 밝혔다.
코인베이스의 대변인은 “BUSD의 거래 중단 결정은 자체 내부 모니터링 및 검토 절차에 의한 것”이라며 “BUSD를 검토한 결과, 더 이상 우리의 상장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판단에 따라 거래 중단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번 BUSD의 거래 중단 결정은 코인베이스닷컴, 코인베이스 프로, 코인베이스 거래소, 코인베이스 프라임에 적용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98420
6. 비트다오 토큰 BIT 주말 랠리 후 상승세 유지 … 2억달러 생태계펀드 제안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세계 최대 탈중앙자율조직(DAO) 가운데 하나인 비트다오 토큰은 25일 0.5518달러에서 26일 0.6037달러까지 약 5% 오르는 랠리를 펼쳤다. BIT는 같은 기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앞서는 성적을 거뒀다.
BIT는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과 호환성을 지닌 레이어 2 네트워크 맨틀(Mantle)이 전날 비트다오 커뮤니티에 2억달러의 생태계펀드 도입 제안을 제출하면서 상승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98390
7. 중국 고속도로 통행료 ‘디지털 위안’ 결제 도입, 디지털 위안 채택 전국 확대
운전자가 요금소를 통화할 때 실시간으로 디지털 위안 지갑이 설치된 휴대전화에서 요금이 지불되는 방식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98391
8. 숏비트코인펀드에 지난주 990만달러 유입 … 연준 정책 및 규제 우려 반영
지난주 부정적 분위기가 암호화폐시장을 주도했음에도 디지털자산펀드 전체적으로 자금 유출은 200만달러를 넘지 않았다. 비트코인 하락에 베팅하는 숏비트코인펀드에 자금이 유입되면서 전체 자금 유출 액수가 제한
27일(현지시간) 코인셰어스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2월 24일 기준으로 이전 한 주 동안 비트코인펀드에서 1170만달러가 빠져나갔다. 비트코인펀드는 3주 연속 마이너스 자금 흐름을 기록했다. 이더리움펀드는 지난주 20만달러 순유출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98378
9. 비트코인 단기적 $2만 후퇴 가능성, 크게 놀랄 필요 없어 – 톤 베이스
비트코인 가격이 주말 하락 이후 2만4000달러를 향해 반등하고 있지만 분명한 지지를 얻지 못하면 2만달러 선까지 다시 떨어질 가능성이 제기됐다.
27일(현지시간)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베테랑 암호화페 트레이더 톤 베이스는 비트코인이 중요 지지 수준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단기적으로 2만달러까지 후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98376
10. 시바리움 출시 임박, 시바이누 주소 수 사상 최고치
현재 시바이누의 주소 수는 314만5000개를 넘어섰는데, 잔액이 0이 아닌 고유 주소 수 또한 꾸준히 증가. 시바이누의 주소 수는 지난 21일 시바리움이 이번 주 안에 출시될 것이라는 발표 후 사상 최고치로 증가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98360
11. [분석] 이더리움 레이어2 ‘아비트럼 vs 옵티미즘’ 기술적 차이(feat. 챗GPT)
레이어2 솔루션은 네트워크 활동의 일부를 메인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을 보다 빠르고 저렴하게 처리할 수 있는 보조 네트워크로 이동시켜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개발되고 있다.
사이드 체인(sidechain), 상태 채널(state channels) 및 롤업(rollup)을 포함한 여러 유형의 레이어2 솔루션이 개발중. 사이드체인은 이더리움 메인 체인에 연결된 독립적인 블록체인인 반면, 상태 채널은 특정 트랜잭션에 사용되는 임시 오프체인 네트워크
롤업은 가장 유망한 레이어2 솔루션으로, 여러 트랜잭션을 묶어 이더리움 메인 체인에서 단일 트랜잭션으로 처리.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98313
12. [칼럼] 비트코인 오디널스, 암호화폐 생태계 구원투수
오디널스 프로토콜(Ordinals Protocol)의 등장은 BTC 기반의 NFT(대체불가능토큰)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오디널스는 사용자가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소액 트랜잭션에 디지털 아트에 대한 레퍼런스를 새길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이다. 이것은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고부가가치 활용사례를 제시한다. FSI인사이트는 최신 보고서에서 “오디널스 중심의 개발 확대와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통해 거래되고
확보된 총 가치의 확장은 결국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
비트코인 출시 이후 가장 중요한 암호화폐 혁신으로 평가받는 NFT를 통합함으로써 비트코인 블록체인은 이제 인터넷 경제의 중추인 디지털 콘텐츠 제작자와 소통하고 있다. 이것은 암호화폐 세계에서 새로운 창의적 혁신의 급류를 일으킬 것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90175
13. “블러 NFT 거래, 7500억 이상 ’워시 트레이딩'”
대체불가능토큰(NFT) 마켓플레이스 블러에서 지난 10여 일 동안 약 7500억원(5억7700만달러)의 '워시 트레이딩(wash trading)'이 발생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워시 트레이딩은 동일 자산을 반복적으로 사고팔아 거래량을 허위로 부풀려 가격을 인위적으로 올리는 시세 조작 방법
블러는 지난 14일 자체 토큰인 BLUR(블러)를 대규모 에어드랍과 함께 출시했다. 오는 4월까지 충성도 높은 사용자에게는 이 토큰을 추가로 에어드랍할 예정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90239
14. "비트코인 2만3800달러 하회 시 리스크 관리 필요"
24.3k 선 위에서의 고점 도전 실패하며 되돌림/수차례 돌파 실패 후 조정 발생
다음 지지 구간(23.8k - 23.6k) 리테스트/ 23.6k 선 지키며 반등
24.6k 선 돌파 실패 후 되돌림/1 - 2 하락분의 0.618 되돌림 레벨(24.6k)
다음 지지 구간(22.8k - 22.6k) 리테스트/ 23.8k 선 횡보하다 PCE 발표 후 추가 하락
22.7k 선을 지키며 현재 반등중/ 주말 간 하방 압력 지속
https://www.digitalasset.works/news/articleView.html?idxno=1422
15. 포브스 "바이낸스 USDC 담보금 18억달러 유용"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지난해 8월, 18억달러(약 2조3736억원) 상당의 바이낸스 페그 USDC(B-peg USDC) 담보금을 고객에 별도 고지 없이 유용했다고 미국 경제 매체 포브스가 보도했다.
바이낸스 페그 토큰이란 BNB체인, 아발란체, 폴리곤 등 여러 블록체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연동된 일종의 래핑(wrapping) 토큰을 말한다. 바이낸스 페그 토큰은 바이낸스 거래소가 직접 발행하는데, 우선 전용 지갑에 발행하고자 하는 페그 토큰의 기초자산을 1:1로 저장한 후 그 가치만큼 발행하도록 되어 있다
바이낸스 페그 USDC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발행된 USDC를 BNB 체인 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바이낸스가 만들어낸 스테이블 코인이다. 그러니까 바이낸스 페그 USDC를 발행하면 그만큼의 USDC가 지정된 지갑 안에 반드시 들어있어야 한다.
포브스는 취재 결과 바이낸스 페그 토큰이 반드시 그런 방식으로 운영되지는 않았다고 지적
코인아르고스 측은 바이낸스 페그 USDC를 뒷받침해주는 담보금이 세 차례에 걸쳐 10억달러 이상 부족했는데도 아무 일이 벌어지지 않았다고 설명
바이낸스의 최고 전략 책임자(CSO)인 패트릭 힐만은 이와 관련해 포브스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거래소 지갑 간에 수십억 달러가 이동하는 것은 거래소의 정상적인 비즈니스 행위의 일부"라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digitalasset.works/news/articleView.html?idxno=1430
16. 매도세에 발목 잡힌 비트코인…"매수 우위 되려면, 시간 걸릴 것"
코인텔레그래프는 "비트코인이 하락했고, 미국 주식 시장은 이번 주를 긍정적으로 시작하려 하지만 일부 분석가들은 시장의 단기 전망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해당 매체는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수석 매크로 전략가인 마이크 맥글론의 분석을 인용 "비트코인은 25,000달러에서 상당한 저항에 직면할 것이다. 매수 세력이 시장의 우위를 점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전망
https://www.coinreaders.com/63294
17. 베테랑 트레이더 "비트코인, 중요 지지선 확보 실패에 단기 급락 가능성…2만달러
붕괴는 없을 듯"
약 12만3천 명의 유튜브 구독자를 보유한 유명 암호화폐 트레이더 톤 베이즈(Tone Vays)가 시가총액 기준 최고 암호화폐 자산인 비트코인(BTC)이 중요한 지지선(25,500달러)를 확보하지 못해 단기적인 가격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 앞으로 몇 주 안에 '상당한' 하락에 직면할 수 있다고 예상. 2만 달러 아래로 떨어지지 않을 것
https://www.coinreaders.com/63262
18. 비트코인-美증시 상관관계 지속 하락세…암호화폐에 불리하다?
"암호화폐 시장이 강세장과 약세장 중간 단계에 위치해 있다"며 "미국과의 상관관계 약화는 암호화폐에 불리하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의 50% 이상과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의 상당 부문이 미국 시장 바깥에서 이뤄지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은 미국이 아닌 글로벌 흐름에 따라 주도된다"고 평가
https://www.coinreaders.com/63292
19. 가상자산 규제, 미국은 죄고 중국은 풀고…패권 바뀌나
카메론 윙클보스 제미니 창업자 역시 "다음 가상자산 상승장은 아시아에서 시작될 수 있다. 가상자산은 세계적인 자산이며 정부는 이를 받아들이거나 외면할 수 있다. 명확한 규제를 제공하지 않는 정부는 뒤쳐질 것이다. 가상자산을 외면한다는 것은 인터넷 이후 가장 급성장하는 산업을 놓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래의 금융 인프라를 구축하고 그 기반이 되는 자산을 놓친다는 뜻"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1011
20. 고팍스 "이사회와 경영 분리…이준행 대표 체제 지속"
고팍스 관계자는 "구글 모기업 알파벳과 구글 임원이 다른 것처럼 스트리미 이사회와 고팍스 경영을 분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스트리미는 고팍스 운영사, 고팍스는 서비스명으로 스트리미 이사회 의장은 레온 싱 풍 대표가 맡지만 고팍스 운영은 기존처럼 이준행 대표가 책임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1019
[크립토 트렌드랩_암호화폐 트렌드 2023]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1번방) https://open.kakao.com/o/gfH7HhRd
2번방) https://open.kakao.com/o/gxFZR7Pd
텔레그램) https://t.me/cryptotrendlab
구글 Docs) https://docs.google.com/document/d/15IMYHpYmhvDoz9TVpG6uhiXwSgRiNBemJr0OQr3jmxM/edit?usp=sharing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립토 트렌드랩_23.03.02_오전] 암호화폐 뉴스 브리핑 (1) | 2023.03.02 |
---|---|
[크립토 트렌드랩_23.03.01_오전] 암호화폐 뉴스 브리핑 (0) | 2023.03.01 |
[크립토 트렌드랩_23.02.27_오전] 암호화폐 뉴스 브리핑 (0) | 2023.02.27 |
[NFTGo] NFT를 활용하여 기업 브랜드의 디지털 기반을 구축하는 방법 (2) | 2023.02.24 |
[크립토 트렌드랩_23.02.24_오전] 암호화폐 뉴스 브리핑 (3)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