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치코미디어] 최초의 크리에이터가 이끄는 NFT 컬렉션 론칭 [치코미디어] 최초의 크리에이터가 이끄는 NFT 컬렉션 론칭 2021.10.01 김주호 ​ 오늘 1일, 바이트 댄스 산하의 글로벌 숏폼 비디오 플랫폼 틱톡(TikTok)이 알리바바와 텐센트에 이어 NFT 시장 진출을 알렸다. 이때 틱톡은 중국 본토 전용 앱인 더우인(抖音)과는 분리되는 개념으로 해외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글로벌 전용 앱을 가리킨다. ​ 틱톡은 자신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틱톡이 최초의 NFT를 출시했으며 오는 6일 경매를 통해 판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틱톡이 발행한 NFT는 틱톡 탑 모먼츠(TikTok Top Moments) 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 틱톡이 NFT 시장에 뛰어드는 이유 ​ 틱톡은 자신들이 NFT 시장에 진출하게 된 배경에 크리에이터들의 창의성과 혁신을 그 이유로 들었다... 더보기
[치코미디어] 미르 4로 보는 ‘Play-to-Earn’의 딜레마…유명 IP에 블록체인 기술이 접목될 때 [치코미디어] 미르 4로 보는 ‘Play-to-Earn’의 딜레마… 유명 IP에 블록체인 기술이 접목될 때 2021.9.27 김주호 지난달 26일 전 세계 론칭된 한국 위메이드의 신작 게임 미르4가 게임 내 유틸리티 코인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게임 업계를 넘어 블록체인 산업 전반의 주목을 받고 있다. 미르4는 동양 무협 세계관에 기반한 MMORPG로 과거 중국에서 6억 명 이상의 유저를 모았던 ‘미르의 전설 2’의 후속작이다. 미르4는 출시 4일 만에 서버를 3배 이상 확장할 정도로 글로벌 흥행몰이를 했다. 미르 IP의 인지도가 높은 중국뿐만 아니라 기존에 유저가 적었던 유럽 북미권에서도 예상외의 인기를 끌었다. 유럽과 북미권에서의 깜짝 인기몰이의 배경에는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Play-to-Ear.. 더보기
[치코미디어] 3세대 NFT 프로젝트 루트, 커뮤니티 창의력이 곧 성장 동력 무엇인가? [치코미디어] 3세대 NFT 프로젝트 루트, 커뮤니티 창의력이 곧 성장 동력 무엇인가? ​ 2021.09.23 김주호 ​ 루트는 무엇인가? 루트(Loot for Adventures)는 텍스트 기반의 NFT이다. 루트는 무료로 시작한 이더리움 기반의 NFT 프로젝트로 검은색 배경에 텍스트의 목록을 묘사하는 이미지가 전부이다. 해당 텍스트에는 가상의 판타지 롤플레잉 게임에서 무작위로 가져온 무기와 장비 리스트가 입력되어 있다. 이는 루트의 사전적 의미인 ‘전리품’과 일맥상통한다. 루트는 오로지 텍스트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NFT 보유자 및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주어진 텍스트에 자신만의 상상력을 덧붙여 자유롭게 응용할 수 있다. 커뮤니티에서는 루트의 특징을 기반으로 아이템 이미지를 상상해 그려 공유하기도 하.. 더보기
[NFT Labs] 메타버스(Metaverse)의 기술 지원: Interactive 3D, XR, AI 및 5G [NFT Labs] 메타버스(Metaverse)의 기술 지원: Interactive 3D, XR, AI 및 5G ​ 2021.09.15 점점 가상현실이 되어가는 세상 ​ 인터넷 기술이 가상현실의 발전을 촉진하면서, 인간 사회는 가상 공간을 소유하고 꾸미는 등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가상현실을 구축하고 다른 가상 생태계에서 부족한 가상 자원을 확립하고 있다. ​ 그러나 가상현실의 개발은 현재 두 가지 장애요인이 있다. 1) 하드웨어의 부족. 기존의 가상 환경은 대부분 PC와 태블릿 컴퓨터를 통해 지원된다. 하드웨어 기능의 한계로 인해 사람들이 경험하는 몰입 효과에는 한계가 있다. 2) 일관된 세계 간 에코시스템 부족. 즉, 대부분의 가상 환경은 의도적으로 특정 게임, 목표 및 커뮤니티로 제한되며, 사람들이 서.. 더보기
[치코미디어] NFT 프로젝트 적정가치 평가 방법 연구 [치코미디어] NFT 프로젝트 적정가치 평가 방법 연구 2021.09 ​ 본 보고서는 NFT 프로젝트의 적정가치를 평가하고자 할 때, '참고할만한 데이터는 무엇이 있는지' 또 '수집한 데이터를 어떤식으로 활용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연구한 내용을 담았다. 본문에서는 최종적으로 유망한 NFT 프로젝트를 찾아내는 과정을 총 6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 본 보고서에는 (1) 첫 번째로, 프로젝트의 개발 배경 및 특징과 같은 기초 펜더멘털과 업계 전반에서 어떤 포지션을 목표로 성장할 계획인지 등을 파악하는 과정 ; (2) 두 번째로, 유동성 지표, 거래가격, 추세 지표, 거래 참여자 추이와 같은 거래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 (3) 세 번째로, 총 보유자 수, 최장 보유기간, 고래의 보유 현황가 같은 NFT.. 더보기
[DEX] dYdX , 해시드가 투자한 탈중앙화 거래소 [DEX] dYdX , 해시드가 투자한 탈중앙화 거래소 ​ 탈중앙화 거래소 디와이디엑스(dYdX)는 블록체인의 처리 속도와 연산량을 높여 해당 블록체인 바깥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블록체인을 별도로 추가하는 스타크웨어(StarkWare)의 레이어2 기술을 사용한 차세대 탈중앙화 거래소이다. dydx에서 1시간 동안 발생한 거래 정보들을 모두 묶어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한번에 기록하는 배치 방식으로 이더리움 블록에 기록하고 이 과정에서 영지식증명 방식인 ZK롤업을 사용한다. 지난 6월 암호화폐 투자회사 패러다임이 주도하는 시리즈 C라운드에서 700억원 상당의 투자금을 확보했으며, a16z, 해시드 및 폴리체인 등을 포함한 글로벌 투자회사들이 참여하였다. dYdX 거래소에서는 메타마스크나 트러스트 월렛 등과 연.. 더보기
[NFT] 단 몇줄의 가상의 판타지 모험 장비 리스트 NFT, LOOT 프로젝트란? [NFT] 단 몇줄의 가상의 판타지 모험 장비 리스트 NFT, LOOT 프로젝트란? ​ LOOT란? (https://www.lootproject.com/) ​ Loot(for Advertures)는 지난 주부터 무료로 시작한 이더리움 기반의 NFT 프로젝트이다. 8,000개의 가상의 판타지 모험 장비 리스트가 든 가방 NFT이다. 이는 그저 검은색 배경의 텍스트 목록이며, 가상의 롤플레잉 게임에서 무작위로 가져온 무기와 장비의 항목일 뿐이다. NFT는 이미지 및 비디오 파일과 같은 디지털 항목에 대한 소유권 증서와 같은 역할을 한다. LOOT의 경우 텍스트의 목록을 묘사하는 이미지가 전부이다. 예술 작품이거나 실제 게임과 연결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Loot NFT는 현재 개당 954,000 달러 이상에 .. 더보기
[블록체인] 돈키(DonKey), DeFi 서비스 [블록체인] 돈키(DonKey), DeFi 서비스 ​ 대한민국 가상자산 시장 가격 정보를 가지고 운영되는 최초의 DeFi 서비스, 돈키! 블록체인 개발사 체인파트너에서 국내 최대 개발자 커뮤니티를 보유한 멋쟁이사자처럼이 함께 선보인 대한민국 최초의 K-DeFi 서비스, 돈키는 가상자산으로 돈 벌 수 있는 비밀열쇠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가상자산을 맡기고 이를 담보로 다른 가상자산을 빌릴 수 있는 P2P서비스이다. 가상자산을 대여해주거나 대출해주는 이에겐 DON토큰으로 이자를 지급한다. ​ 돈키의 DON 토큰은 P2P 예치/대출 프로토콜의 특성상 사용자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로 DON 토큰을 지급. DON 토큰은 크게 앞으로 최소 5년간 계획된 일정에 따라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Reward Token과 프로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