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치코미디어] 이더리움 런던 하드포크 총정리,EIP-1559업데이트 이후 수수료 계산 예시

728x90

[치코미디어] 이더리움 런던 하드포크 총정리,

EIP-1559업데이트 이후 수수료 계산 예시

 

2021.08.06

김주호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런던 하드포크 업데이트가 지난 5일 밤 완료됐다. 여기서 하드포크(Hard Fork)란 블록체인 프로토콜이 어느 한 시점에서 급격하게 변경되는 것을 뜻한다. 이전 버전의 프로토콜에서 심각한 보안상 취약점을 발견했을 때, 혹은 소프트웨어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하려 할 때 하드포크를 한다. 이때 이더리움의 기능 향상 업그레이드를 ‘이더리움 개선 제안(EIP)’라고 부른다.

 

이더리움 런던 하드포크는 5가지 EIP를 포함하는데 그중 수수료 개선 방안을 담고 있는 EIP-1559가 가장 중요한 업데이트로 판단된다. EIP-1559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들은 원하는 거래의 비용이 얼마나 될지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또 거래비용으로 사용된 이더리움은 소각되어 거래가 많이 이뤄질수록 이더리움의 공급량이 줄어드는 구조로 바뀐다. 이를 통해 발행량이 무제한인 이더리움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EIP-1559 업데이트 이후 사용자 경험 증대

 

현재 이더리움과 비트코인 모두 거래 수수료를 더 많이 내는 사람의 거래가 먼저 처리되는 최고가격입찰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수료 메커니즘은 단순하지만 매우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가 수수료를 예측을 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이더리움은 EIP-1559 업데이트를 통해 모든 거래에 가능한 한 동일한 수수료가 책정되게 하여 현재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다. 향후 사용자는 거래의 여부만 결정하고, 수수료가 얼마나 붙을지 등에 대해선 고민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로써 사용자 경험(UX)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EIP-1559는 어떻게 작동할까

 

업데이트 이전의 채굴 수수료 구조는 “채굴비용 = 가스 비용 * 사용한 가스”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사용한 가스(GasUsed)는 거래에 있어 소비된 총 가스의 수량을 가리키며 가스 비용(gwei) 은 단위 가스의 정가로 1 gwei 은10^(-9) ETH이다.

 

업데이트 이전의 채굴 수수료 구조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 가격경쟁 메커니즘 채택, 더 높은 거래 수수료를 설정해 놓을수록 더 빠르게 거래가 처리됨

· 거래는 채굴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거래 수수료는 채굴자에게 보상으로 주어짐

· 채굴자들은 자신들의 수익을 위해서 높은 가스비가 책정된 거래를 우선적으로 채굴하게 됨

 

업데이트 이후의 수수료 구조는 아래와 같다.

 

거래 수수료 =(기본 수수료(baseFee) + 급행 전송 수수료(PriorityFee))* 사용한 가스

 

업그레이드 전후를 비교해 볼 때, EIP-1559에서는 가스비가 기본 수수료와 급행 전송 수수료 등 두 개의 비용 조합으로 구성된다.

 

기본 수수료(baseFee)

 

기본 수수료는 이전 블록 사용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되며, 현재 블록의 사용률이 50% 이상이면 증가하고, 50% 미만이면 하락하는 구조이다. 기본 수수료의 계산 공식에 따라 인접 블록 간의 기본 수수료 변화 폭은 ±12.5% 사이이다. 즉, 다음 블록에서 결정될 기본 수수료는 전 블록보다 최대 12.5%까지 높을 수 있다. 다시 말해,

 

- 이전 블록 사용률이 100%였으면 현재 블록 기본 수수료는 자동으로 12.5% 향상된다.

- 이전 블록 사용률이 0%이면 현재 블록 기본 수수료는 자동으로 12.5% 낮아진다

 

기존 채굴 메커니즘과 다르게 EIP-1559 업데이트 후에는 거래 수수료는 더 이상 채굴자에게 완전히 돌아가지 않고 이때 기본 수수료로 쓰인 이더리움은 소각된다.

 

급행 전송 수수료 (PriorityFee)

 

급행 전송 수수료는 채굴자에게 주어지는 팁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이전의 거래 수수료 책정 방식인 최고가격입찰제와 같은 구조다. 사용자는 자신의 거래가 블록에서 빨리 패킹되길 원할 시 ‘팁’을 통해 채굴자에게 보상을 함으로서 우선적으로 거래를 처리할 수 있게된다. 이때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팁 지출의 최고치, 즉 채굴자에게 주는 팁의 상한선을 최대 우선 수수료(maxPriorityFee)라고 한다.

 

최대 수수료 (maxFee)

최대 수수료는 사용자가 어떤 거래에 대해 지불할 수 있는 최고 거래 비용을 가리킨다. 최대 수수료 공식은 “maxFee = baseFee + maxPriorityFee”이다. 이 중 maxFee와 maxPriorityFee는 사용자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으며 baseFee만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제공된다.

 

EIP-1559 거래 수수료 계산 예시

아래는 EIP-1559 하드포크 이후 거래 수수료 계산에 대한 예시이다. 단위는 gwei 이다.

maxFee maxPriorityFee baseFee 소각 PrioriyFee (채굴자 팁)
50 10 1 1 10
50 10 40 40 10
50 10 45 45 50-45=5
50 10 50 50 50-50=0
50 10 60 최대 수수료가 기본수수료보다 작기 때문에, 위와 같은 거래는 현재 블록에 들어갈 수 없기에 기다려야한다.

* 하드포크 이전


채굴 수수료 = 가스비(GasPrice) * 사용한 가스(GasUsed)


* 하드포크 이후


거래 수수료 = (기본 수수료(baseFee) + 급행 전송 수수료(PriorityFee))* 사용한 가스
maxFee >= baseFee + maxPriorityFee

 


치코미디어(CHIKO Media)는 중국의 정부기관인 복건성 신흥과학기술산업 발전센터에 등록된 Chiko Blockchain School의 자회사입니다. Chiko Blockchain School은 미국 하버드 대학교, 중국 북경대학교, 절강대학교, 한국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출신인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운영하고 있는 블록체인 학교이며 중국 복건성 정부로부터 승인을 받았습니다. 현재 절강대학교, 복단대학교, 상해 교통대학교 등 중국 명문대에서 블록체인 강의 및 정부대상으로 블록체인 컨설팅을 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업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치코미디어는 Chiko Blockchain School에서 운영을 하며 중국의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와 관련된 뉴스를 전달하며 업계 분석을 통해 중국의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에 관한 소식을 한국에 전달합니다.

​치코미디어의 텔레그램 및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통해 치코미디어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코미디어 텔레그램: https://t.me/chiko_media

치코미디어 오픈채팅방: https://open.kakao.com/o/gdDtPIWb

728x90